본문 바로가기
정보

2025년 미국증시 폭락, 수익은 줄었지만 양도세는 여전하다면?

by 사소한지식창고 2025. 4. 7.
반응형

 

📉 수익은 사라졌는데… 양도세는 그대로? 2025 하락장에서 살아남는 절세 전략

2025년 4월, 미국 주식 시장이 요동치고 있습니다.

연초 고공행진하던 나스닥과 S&P500은 한 달 새 10% 넘는 급락을 기록하며,

수많은 투자자들의 계좌를 파란불로 물들였죠.

저 역시 올해 상반기엔 꽤 괜찮은 수익률을 기록했지만,

지금은 평가금액이 작년 12월 수준보다도 낮아졌습니다.

그런데 이 와중에 양도소득세를 낸다?

왠지 더 억울하게 느껴지진 않으시나요?

하지만 놀랍게도!

지금 같은 하락장에서도 현명한 절세 전략만 잘 세우면

세금을 아예 '0원'으로 만들 수도 있습니다.

오늘은 바로 그 ‘실전 전략’을 정리해볼게요.


💥 미국주식 양도세, 왜 내야 하죠?

우리가 미국 주식을 매도해서 수익이 발생하면,

차익에 대해 양도소득세를 내야 합니다.

  • 기본공제: 연 250만 원까지 비과세
  • 세율: 22% (지방세 포함)
  • 신고 시기: 매년 5월 (직접 또는 세무대행)

예를 들어,

올해 수익이 500만 원이면 → (500 - 250) × 22% = 55만 원 납부

수익은 줄었는데 세금은 고스란히 내야 한다는 거죠.


✅ 전략 1. 지금 손해 본 종목, '손절'이 절세다

하락장에서 모든 종목이 다 수익을 내긴 어렵습니다.

그런데 이 손실, 그냥 참고 들고 있을 게 아니라

지금 실현하면 세금 줄이는데 큰 역할을 합니다.

예시)

  • 테슬라 +300만 원 수익
  • 루시드 -250만 원 손실 → 같이 팔면 총차익 = 50만 원 → 세금 거의 없음

👉 손익통산 전략: 수익과 손실을 합산해 과세 기준 이하로 조정 가능


✅ 전략 2. 장기보유할 주식, 쪼개서 수익 실현

기본공제는 매년 1회, 250만 원씩 제공되기 때문에

고수익 종목이라도 연말에 일부 매도하고 재매수하면 절세가 가능합니다.

예)

  • A 주식 500만 원 수익 중
  • 250만 원만 먼저 매도 → 세금 0원
  • 내년에 나머지 매도 → 또 250만 원 공제 활용

👉 수익을 쪼개서 나눠 실현하면 양도세를 크게 줄일 수 있어요.


✅ 전략 3. 배우자 증여 활용하면 ‘취득가’를 높일 수 있다

10년간 6억 원까지 증여세 없이 증여 가능

주식의 취득가를 현재 시세 기준으로 새로 잡을 수 있기 때문에

추후 매도 시 세금 부담이 확 줄어듭니다.

단, 2025년부터는 1년 이상 보유해야 취득가 인정!

이 점 꼭 기억하세요.


✅ 전략 4. 증권사 세금 계산 방식에 따라 다르다?

대부분 증권사는 선입선출법(FIFO)

일부 증권사는 이동평균법 사용

📌 주가가 상승 중이면 → 이동평균법 유리

📌 주가가 하락 중이면 → 선입선출법 유리

NH투자증권은 양쪽 다 보여주는 ‘고객 선택권 서비스’ 제공 중이니

세금 부담을 줄이고 싶다면 증권사 선택도 전략입니다.


✅ 마무리: 하락장이 기회가 될 수도 있습니다

지금은 수익률이 줄어 심리적으로 위축될 수밖에 없는 시기입니다.

하지만 바로 이럴 때가 절세할 수 있는 찬스이기도 합니다.

  • 손실 종목 매도
  • 연간 공제 쪼개쓰기
  • 배우자 증여
  • 증권사 이동

이런 전략 하나하나가 모이면,

몇십만 원, 많게는 수백만 원의 세금을 아낄 수 있어요.

하락장은 누구에게나 힘들지만,

‘지키는 전략’을 아는 사람은 결국 더 멀리 갑니다.


🔖 태그

#미국주식 #해외주식세금 #양도소득세 #절세전략 #2025경제 #하락장대응법

#손익통산 #배우자증여 #기본공제 #미국증시폭락 #S&P500하락 #나스닥폭락

#투자심리 #세금폭탄 #미국주식절세 #양도세신고 #세무상식 #증권사비교

#이동평균법 #선입선출법 #NH투자증권 #절세포인트 #하락장기회 #주식절세

#경제블로그 #절세팁 #주식전략 #세금정보 #재테크전략 #미국주식공략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