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25년 2월 13일 미국 증시 시황 정리
안녕하세요, 여러분! 오늘은 2025년 2월 13일(현지시간) 미국 증시 시황을 정리해보겠습니다.
어제 발표된 경제 지표와 시장 반응을 중심으로 살펴보겠습니다.
📈 주요 지수 동향
미국 뉴욕 증시는 상승세로 마감했습니다. 주요 지수는 다음과 같습니다.
- 다우존스 산업평균지수: +0.77% 상승, 44,711.43
- S&P 500 지수: +1.04% 상승, 6,115.07
- 나스닥 종합지수: +1.50% 상승, 19,945.64
강한 실적을 발표한 기업들의 주가 상승과 기술주 강세가 시장 상승을 이끌었습니다.
🔥 주요 이슈와 경제 지표
1️⃣ 소비자물가지수(CPI) 발표
1월 소비자물가지수(CPI) 가 시장 예상보다 높게 나왔습니다.
- 전월 대비 0.5% 상승
- 전년 동월 대비 3.0% 상승
이는 예상보다 높은 수치로, 인플레이션이 완전히 잡히지 않았음을 시사합니다. 이에 따라 연준(Fed)의 금리 인하 기대감이 약화되었습니다.
2️⃣ 금리 전망 변화
높은 CPI 발표로 인해 연준의 금리 인하 기대가 후퇴하면서, 미국 10년물 국채 금리는 4.6%대로 상승했습니다.
제롬 파월 Fed 의장은 "현재로서는 금리 인하를 서두를 필요가 없다"며, 당분간 긴축적 통화정책을 유지할 가능성을 시사했습니다.
🏆 업종별 동향
📌 기술주 강세
- 애플 (+1.97%)
- 엔비디아 (+3.16%)
- 마이크로소프트 (+0.37%)
- 아마존 (+0.63%)
- 구글 (+1.38%)
📌 전통 에너지·방산주 약세
-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종전 가능성이 제기되면서 에너지 및 방산 관련 주식들은 소폭 하락했습니다.
📌 반도체·AI 관련주 강세
- 인공지능(AI)과 반도체 관련 업종은 여전히 상승세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 시장 전망
1월 CPI 지표가 예상보다 높게 나오면서 Fed의 금리 인하 시기가 늦춰질 가능성이 커졌습니다. 시장에서는 2025년 6월 이후 첫 금리 인하 가능성을 점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채권 금리가 상승하고 기술주 중심의 시장 변동성이 커질 가능성이 있습니다.
📅 주목할 만한 향후 일정
✅ 2월 15일 (목): 미국 소매판매 (Retail Sales) 발표
✅ 2월 21일 (수): FOMC 회의록 공개
✅ 2월 28일 (수): 4분기 GDP 2차 추정치 발표
✅ 마치며
2025년 2월 13일 미국 증시는 인플레이션 우려에도 불구하고 상승세를 유지했습니다.
투자자들은 앞으로 발표될 경제 지표와 기업 실적을 면밀히 살피며 대응해야 할 것입니다.
앞으로도 시장 동향을 빠르게 전달해드리겠습니다. 다음 포스팅에서 또 만나요! 😊
📌 #미국증시 #경제지표 #투자전략 #CPI #금리전망
'주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소매업체 실적 부진과 인플레이션 우려로 하락한 뉴욕증시 동향(2025년 2월 21일 마감 시황) (0) | 2025.02.21 |
---|---|
2025년 2월 14일 미국 증시 마감: 혼조세 속 기술주 강세 (0) | 2025.02.15 |
미국 30년물 국채 금리 4.827% - 높은 수준일까? 향후 전망 분석 (0) | 2025.02.13 |
【트럼프 관세 폭탄】미국, 철강·알루미늄 25% 추가 관세..한국 철강업계 위기와 대응 전략 (0) | 2025.02.10 |
대체거래소 넥스트레이드, 하루 12시간 주식거래로 투자 기회 UP! (0) | 2025.02.10 |